News
-
게재 승인된 논문이 철회되다!News 2011. 8. 16. 03:13
추방(Expelled)이란 다큐멘터리를 기억하는가? 지적설계론을 둘러싼 부당한 대우들을 다룬 다큐멘터리로 오늘날 있을법하지 않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하는 일들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는 다소 충격적인 내용일 것이다. 다큐멘터리가 나온 뒤에 또 그러한 사건이 발생했다. 정상적 피어리뷰(peer review) 과정을 거친 논문에 대해 어떠한 소명절차도 없이 논문 출판을 취소한 사건이다. Granville Sewell은 누구? 그는 1972년 퍼듀 대학에서 수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텍사스 대학(Austin 소재)에서 기계공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바 있다. 1983년부터 현재까지 텍사스 대학 (El Paso소재)에서 수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그는 대학 수준의 교과서인 “The Numerical Solut..
-
Gauger et al. 2010년 Bio-Complexity 논문 리뷰News 2010. 5. 22. 06:53
Abstract New functions requiring multiple mutations are thought to be evolutionarily feasible if they can be achieved by means of adaptive paths—successions of simple adaptations each involving a single muta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se adaptive paths to new function therefore constrains what can evolve. But since emerging functions may require costly over-expression to improve fitness,..
-
Meyer 박사의 새 책을 둘러싼 평가들News 2010. 3. 9. 01:54
지난 포스트에서 Meyer 박사의 새로운 책 Signature in the Cell: DNA and the evidence for Intelligent Design 이 아마존 과학부분 탑 10에 선정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다. 물론 극단적인 무신론자들로부터 지적설계 관련 서적이 좋은 반응을 불러일으키긴 어려울 거라 예상되지만 모든 무신론자들이 그런 것은 아니다. Times online 에서 2009년의 책을 선정한바 있는데, Thomas Nagel이라는 유명한 철학자이자 무신론자가 2009년에 주목할만한 책으로 두 권을 집어둔 것을 눈여겨 봐야할 것이다. János Kis’s Politics as a Moral Problem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is a s..
-
뎀스키의 새로운 peer reviewed paper!News 2009. 8. 21. 01:16
지적설계 이론의 흔한 오해와 비난 중 하나는 peer reviewed 논문이 없다는 비난이었다. 실제로 peer reviewed 논문이 없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이고, 많지는 않지만 연구 논문이 있다는 것이 Discovery Institute의 설명이다. 혹은 다른 비난중 하나는 Discovery Institute에서 제시하는 연구 논문이 실제 지적설계를 지지하는 내용이 아니라는 비난도 흔하게 접해볼 수 있는데 이 또한 사실 관계와 맞지 않다. 어쨋든 도킨스를 비롯한 진화 알고리즘이 새로운 정보를 생성해낼 수 있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연구 논문이 실렸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은 사람은 해당 저널에서 논문을 내려받길 추천한다. William A. Dembski and Robert J. Marks II, “C..
-
유진 스캇(Eugenie Scott)의 계속되는 Anti-ID 운동News 2009. 7. 31. 03:11
지난 포스트(2009/06/05 - [News] - NCSE의 Eugenie Scott과 지적설계 비판)에서 유진 스캇의 계속되는 지적설계 이론에 대한 비판들을 다룬 바 있다. 최근 ScienceNews 잡지에 그녀의 인터뷰가 실린 바 있는데, 그녀의 계속되는 반-지적설계 운동에 대해 다루지 않을수가 없게 되었다. 먼저 그녀는 과학자들에게 충고하기를 진화를 믿는다(believe in Evolution)이라는 표현대신 진화를 받아들인다(accept evolution)이라 표현하라고 충고한다. 이유인즉, 믿는다는 표현을 쓰면 창조론자들은 그러한 표현을 빌미로 진화는 하나의 믿음체계이며 잘 뒷받침되어온 과학이 아니라는 인상을 준다고 이해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좋다. 그녀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여 믿는다는 표현..
-
진화 - 유신론 양립 가능?News 2009. 7. 18. 01:58
최근 유신 진화측 블로그에서 포스팅 된 글에서 제시된 통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나라에서 절반이 넘는 일반인들이 진화와 하나님을 믿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다고 답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 제시된 '신(God)'은 기독교에서 이야기하는 신으로 한정한 것은 아님을 참고하길 바란다. 미국으로 이야기를 한정해서 보면 53%라는 반이 넘는 이들이 유신론과 진화를 받아들이는 것에 아무런 어려움을 느끼지 못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27%만이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답변함을 볼 수 있다. 진화라는 용어가 굉장히 여러 의미로 사용됨을 생각해볼 때 과연 어떤 진화를 의미하는지 구체화하지 않은 여론조사가 얼마나 큰 통계적 의미가 있을지 의문스럽다. 한가지 예측 가능한 통계 조사는 진화라는 의미를 '시간에 따른 변화(Cha..
-
ASA 64th Annual MeetingNews 2009. 6. 23. 01:39
미국의 크리스찬 과학자 협회 정도로 불리울 수 있는 ASA (American Scientific Affiliation)에서 64번째 정기 모임을 텍사스 주에 있는 베일러 대학에서 갖는다. 이번 모임에서 눈에 띄는 세션은 유신진화론과 지적설계론의 대화의 장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별히 주목되는 세션은 지적설계이론의 주도적 역할을 하고있는 William Dembski, Richard Sternberg, Douglas Axe, Stephen Meyer 등이 talk을 하기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자세한 프로그램 일정을 원하는 이는 아래 링크에서 pdf로 된 파일을 확인 바란다. http://www.asa3.org/ASA/meetings/baylor2009/Baylor_program.pdf 주목할만한 세션..
-
신앙과 과학은 독립적인가?News 2009. 6. 12. 00:43
다윈주의 진화론을 수용하는 일부 크리스찬 과학자들은 과학과 신앙은 독립적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많은 크리스천 과학자들이 스티븐 제이 굴드와 같은 독립론을 견지하는지는 의문이지만, 과학이 우리의 신앙과 독립적이라 보는것은 매우 우려스러울만한 결과들을 야기할 수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러한 관점의 위험성을 보다 잘 드러내주기 위해, 과학과 신앙을 독립적이라 보는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유신진화론의 반대편에 있는 한 사람을 소개하고자 한다.이 사람에 대한 기사는 뉴욕 타임스에 나온 적도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1] Marcus R. Ross는 Liberty University에서 geosceince를 가르치고 있으며 로드아일랜드 대학에서 geoscience로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다. 그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