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아지 vs. 아기: 지능 비교의 의미는?News 2025. 2. 11. 02:05
강아지 vs. 아기: 지능 비교의 의미는?
지적설계(Intelligent Design) 관련 뉴스를 다루는 Evolution News에서 흥미로운 연구를 소개했습니다. Denyse O’Leary 기자는 최근 Live Science가 보도한 "개와 고양이는 아기보다 더 똑똑한가?"라는 질문을 분석하며, 인간과 동물의 지능을 비교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 개는 얼마나 똑똑한가?
- 심리학자 스탠리 코렌(Stanley Coren)에 따르면, 평균적인 개는 약 165개의 단어와 신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특별히 훈련된 보더 콜리 '체이서'는 1,000개 이상의 단어를 배웠다고 보고되었습니다.
- 개들이 간단한 숫자를 구별할 수 있으며, 사냥에서 여러 개체를 추적할 수도 있음.
- 그러나 인간 아기와의 차이점은?
- 인간 아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추상적 사고와 복잡한 언어를 이해하는 방향으로 발전합니다.
- 개의 지능은 일정 수준에서 멈추는 반면, 인간은 사고의 깊이와 복잡성이 꾸준히 증가합니다.
- 개의 사고는 신호와 직접적인 경험에 기반을 두지만, 인간은 이를 넘어 상징적·추상적 개념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 지적설계 관점에서 본 의미
- 현대 과학 글쓰기에는 종종 인간의 독특함을 지우려는 경향이 있으며, 인간 지능이 동물 지능의 연장선상에 불과하다는 메시지가 숨겨져 있다는 점을 비판.
- 하지만 인간의 언어 능력과 사고방식은 동물과 '정도'의 차이가 아니라 '본질'적인 차이가 있음.
- 이런 비교가 과연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 차이를 설명하는 데 적절한지 의문을 제기.
결론
Denyse O’Leary 기자는 이와 같은 연구들이 "인간 예외성(human exceptionalism)"을 희석시키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즉, 아무리 개나 고양이가 똑똑해 보여도, 인간과 같은 복잡한 언어 체계나 철학적 사고를 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원문 기사: Dog Versus Baby Intelligence: A Comparison
👉 인간과 동물의 지능 비교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윈의 날을 맞아, 현대 다윈주의의 결함을 재조명하다 (0) 2025.02.14 회의주의자의 회심. 위키피디아 공동 설립자. Larry Sanger (1) 2025.02.12 과학과 신앙의 갈림길? “과학적 유물론을 받아들이는 기독교 과학자들” (0) 2025.02.07 유신진화론의 궁극적 결말(?): 하워드 반 틸과 칼 기버슨의 슬픈 사례들 (1) 2025.02.05 2025 댈러스 과학과 신앙 컨퍼런스, "모든 생명, 크고 작게 설계되다" 주제로 개최 (0) 2025.02.03 - 개는 얼마나 똑똑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