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설계
-
신앙과 과학은 독립적인가?News 2009. 6. 12. 00:43
다윈주의 진화론을 수용하는 일부 크리스찬 과학자들은 과학과 신앙은 독립적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많은 크리스천 과학자들이 스티븐 제이 굴드와 같은 독립론을 견지하는지는 의문이지만, 과학이 우리의 신앙과 독립적이라 보는것은 매우 우려스러울만한 결과들을 야기할 수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러한 관점의 위험성을 보다 잘 드러내주기 위해, 과학과 신앙을 독립적이라 보는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유신진화론의 반대편에 있는 한 사람을 소개하고자 한다.이 사람에 대한 기사는 뉴욕 타임스에 나온 적도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1] Marcus R. Ross는 Liberty University에서 geosceince를 가르치고 있으며 로드아일랜드 대학에서 geoscience로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다. 그는 ..
-
다윈주의(Darwinism) vs 진화론(Evolutionary theory)Misunderstanding 2009. 6. 10. 05:09
논쟁적인 이슈에 관해 토론을 하다보면, 상대방으로부터 자신의 비판의 내용에 대해 동문서답을 들을 경우가 있다. 혹은 자신이 비판하지 않은 내용에 대해 반론을 제시받는 경우도 많다. 이를 두고 온라인상에서는 난독증이니 뭐니 하는 비아냥이 넘쳐대지만, 사실 많은 경우 이러한 오해들은 사용하는 용어들이 정확하게 정의되지 않고 사용되기 때문인 것 같다. 같은 용어를 사용하지만, 서로 그 용어를 정의하는 내용이 다른 것이다. 이러한 오해들은 창조-진화 논쟁과 지적설계이론을 둘러싼 논쟁에서 자주 일어나는 것 같다. 그 대표적 예가 '진화론'이라는 의미이며, 특히 대표적인 예가 다윈주의 진화론에 대한 지적설계 진영에서의 비판을 '진화론' 전체를 거부하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현상이다. 진화라는 의미처럼 다양한 의미로 사..
-
How 'Not' to critique Intelligent Design TheoryMisunderstanding 2009. 6. 6. 06:58
지적설계에 대한 많은 허황된 비판들이 많지만, 그 중 하나의 대표적 예를 꼽으라면 Niall Shanks의 'God, the Devil, and Darwin'이 될 것 같다. 이 책에 대해 칼빈 대학의 Del Ratzsch가 자세한 비평을 담은 리뷰를 쓴 바 있는데, How not to critique ID theory 라는 제목의 리뷰다. 지적설계의 역사를 창조론 운동으로 보는 실수라든지, 지적설계 진영에서의 주장들에 대한 비판에 충실하기보다는 인신 공격이나 허수아비 공격을 펼친다든지, 지적설계 이론이 과학이 아닌 종교라는 속빈 주장과 같은 대표적인 예를 담은 종합 선물 세트가 되겠다. 그의 리뷰중 초록과 결론 부분만 번역하여 제공한다. 전문을 보기 위해서는 위의 링크를 따라 원문을 보기 바란다. 초록..
-
NCSE의 Eugenie Scott과 지적설계 비판News 2009. 6. 6. 01:40
2009년 6월 5일자 사이언스지에 진화론 교육 방어에 열을 올리고있는 NCSE의 유진 스캇의 인터뷰가 실렸다. 그녀는 자신을 묘사하기를 '다윈의 골든 리트리버'라 표현했으며, 창조론 운동과 지적설계에 대한 비판의 공(?)을 인정받아 스티븐 제이 굴드 상을 수상하기도 했고, Scientific American에서 미국의 탑 10 과학 기술계의 리더로 인정받기도 했다. 그녀의 지적설계이론에 대한 비판은 도를 지나치고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가장 흔하고 손쉬운 지적설계 이론에 대한 비판은 '위장한 창조과학(creationism in disguise)'이라는 비판이다. 지적설계 이론이 무엇을 주장하는지, 다위니즘의 어떠한 부분을 비판하는 것인지 전혀 설명도 없이 지적설계 이론은 반진화론이며 창조과학의..
-
Karl Giberson의 지적설계 비판News 2009. 6. 4. 02:45
Karl Giberson은 Biologos 재단의 vice-president이다. Biologos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디렉터였던 프란시스 콜린스가 주장한 유신진화론의 또다른 이름이며, 그는 템플턴 재단의 지원을 받아 Biologos재단을 설립했고, 이 단체는 다윈주의 진화와 기독교가 화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단체이다. 유신 진화론은 주류 과학계의 다윈주의 진화이론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기독교적 입장이다. 지적설계의 본부라 할 수 있는 Discovery Institute는 유신진화 진영의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하고, 유신진화론과 지적설계 진영에서의 쟁점에 관한 토론을 제기하고자 Faith and evolution이라는 블로그를 새롭게 런칭했다. 주로 지적설계를 받아들이는 입장과 ..
-
[Critic]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IVP) - 지적설계 7Critics 2009. 5. 29. 06:26
확률 문제 먼저 저자의 작은 실수 먼저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그는 지적설계론자와 창조과학자들은 확률 문제를 자주 사용한다고 이야기하면서 ‘최초의 생명체가 만들어질 확률은 고물상을 휩쓸고 지나가는 토네이도에 의해 비행기가 만들어질 확률만큼이나 낮다’는 대표적 주장을 언급한다.[1] 천문학자인 그가 이것을 대표적인 예라 이야기하는게 조금 의아스럽다. 물론 지적설계 진영에서 확률 논리를 사용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가 언급한 대표적인 예라고 제시한 것은 지적설계 진영에서 주장한 내용도 아니고 창조과학 진영에서 주장한 내용도 아니다. 이는 천문학자이며 불가지론자인 프레드 호일이 주장한 내용이다. 호일은 화학 진화(chemical evolution)라는 개념에 대해 매우 회의적이었으며 이를 두고서 토네이도..
-
[Critic]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IVP) - 지적설계 6Critics 2009. 5. 29. 06:22
방법론적 자연주의(methodological naturalism) 저자는 과학의 영역에서 방법론적 자연주의를 사용하는 것을 변호하며, 지적설계 진영에서는 과학 영역에서 방법론적 자연주의를 사용하는 것 자체에 문제를 제기한다며 불평한다.[1] 저자는 지적설계 진영에서의 주장을 오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 지적설계론자들의 주장은 방법론적 자연주의를 사용하는 것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방법론적 자연주의’만’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물질과 에너지와 같은 자연적인 원인으로 자연현상을 탐구하는 것 그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아니다. 직업 과학자로서 자연적 원인으로 자연 현상을 탐구하는 것은 모든 과학자들에게 요구되는 것임은 분명하다. 지적설계론자들의 주장은 방..
-
[Critic]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IVP) - 지적설계 5Critics 2009. 5. 29. 06:20
지적설계를 학교에서 가르쳐라!? 몇년전 미국 펜실베니아주의 도버에서 지적설계 이론을 과학 수업시간에 의무적으로 가르치라는 법안이 교육위원회에서 통과되었다. 이에 반발한 다른 위원회 멤버들은 반대의 의사표시로 교육위원회 자리를 사임했고, 교육위원회의 결정에 반발한 학부모가 ACLU의 도움을 받아 법정 소송을 시작했다. 이 법정 소송은 사상 처음으로 지적설계 이론을 과학수업시간에 가르칠 것을 의무화한 법안으로 인해 온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었고, 결과는 지적설계 교육을 의무화한 교육위원회가 패소함으로서 막을 내렸다. 저자는 이러한 시도를 형이상학적 주장을 과학으로 포장한 위험한 시도라 이야기하며, 또한 이러한 시도의 책임을 지적설계 진영의 잘못으로 돌리는 듯 하다.[1] 앞서 언급했듯이 지적설계 이론은 신존재..